홈택스에서 부가세 직접 신고하기 2편
홈택스에서 부가세를 직접 신고하는 방법을 분량상 1편과, 2편으로 나눠 설명드리고 있습니다.
1편 매출세액 /과세표준 입력 편에 이어 이번 글은 2편 매입세액 / 공제세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혹시 1편을 보지 못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.
⭐️ 부가세신고 1편 보러 가기 - 매출세액 / 과세표준 입력 편 ◀
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방법 2편
2편을 이어 작성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1편을 잘 따라 작성하셨다면 2편도 어려움 없이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.
⭐️ 매입세액은 빠짐없이 작성을 해야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1. 매입세액 작성하기
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사업에 필요한 재료나 자재, 서비스 등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매입 내역이 있다면 [세금계산서수취분 일반매입] 항목에 [작성하기] 버튼을 눌러주세요.
다음과 같은 페이지에서 [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]를 클릭합니다. 그럼 자동으로 내역이 불러와집니다.
⁉️ 전자세금계산서 외에 종이세금계산서 매입 내역이 있나요?
종이세금계산서 매입내역이 있다면 입력을 해주세요.
사업자등록번호, 매수, 세액, 공급가액 등을 입력해 줍니다.
세금계산서 매입 내역을 잘 입력하셨다면 [입력내용추가] 버튼을 눌러주세요.
2. 사업용 신용카드, 현금영수증 매입 내역 작성
사업자 카드와 현금영수증 매입 내역은 자동으로 불러와집니다.
사업자카드와 현금영수증 전표 매입 내역은 [그 밖의 공제매입세액] 항목에서 입력해 주세요. [작성하기] 버튼 클릭!
이동한 페이지에서 [신용카드매출전표 등 수령명세서 제풀분 일반매입] 항목의 [작성하기]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.
[현금영수증]과 [사업용 신용카드] 항목 옆에 [조회하기]를 클릭하여 해당 매입 내역들을 불러옵니다.
⁉️ 개인 신용카드로 매입 결제 내역이 있나요?
사업용 카드가 아닌 개인 신용카드로 매입 결제를 한 내역이 있다면 [가맹점 정보] 항목에 카드회원번호, 공급자(가맹점) 사업자등록번호, 공급가액, 거래건수, 세액 등을 입력해 주세요.
⭐️사업자 카드는 별도로 사용하는 게 좋으며 홈택스에 등록하여 사용하세요.
3. 경감‧공제세액 작성
[그 밖의 경감‧공제세액] 항목 [작성하기]를 클릭해 주세요. 스스로 전자 신고를 했을 경우 납부할 세액에서 1만 원의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전자신고 세액공제 항목 옆에 세액 1만 원을 확인하고 [입력완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[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공제 등] 은 소매업을 운영하면서 10억 원 이하 개인사업자가 신용‧직불‧선불카드, 전자화폐로 결제받았거나 현금을 받고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매출액의 1.3%를 1,000만 원 한도 내에서 납부세액을 공제해 주는 항목입니다. [작성하기]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.
해당 페이지로 넘어가면 다음과 같은 팝업창이 뜹니다. '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세액 공제금액을 자동 계산하시겠습니까?' 확인을 클릭해 주세요. 그러면 발행금액의 1.3%가 공제세액으로 자동 계산되며, 공제금액을 확인 후 [입력완료] 버튼을 클릭하세요.
4. 최종 납부(환급) 세액 확인 및 제출
지금까지 잘 입력하셨다면 마지막으로 [최종 납부(환급) 세액] 항목에서 환급받을 세액은 얼마인지, 또는 내야 할 세금이 얼마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환급을 받게 된다면 아래 [국세환급금 계좌신고] 항목에 환급받을 은행명과 계좌번호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. 모두 마쳤으면 [신고서 입력완료] 눌러주세요.
✳️ 예정신고기간에 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하셨다면 예정고지세액은 확정 신고 시에 기납부 세액으로 차감됩니다.
매출 세액부터 매입 세액까지 지금껏 신고 입력했던 내용들을 [신고서 제출] 항목에서 보실 있습니다.
'최종 납부할(환급받을) 세액은 0,000,000원입니다.' 확인하셨나요?
이제 모든 게 끝났습니다.
마지막 [신고서 입력완료] 버튼을 누르면 신고서가 국세청에 제출되며 [신고서 접수증]을 확인합니다.
실제납부할 세액 내역을 확인 후 [납부하기] 버튼을 클릭하여 세금을 납부하시면 됩니다.
✨ 신고기한 동안에는 최종 제출만 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재작성하셔도 됩니다.
지금까지 홈택스에서 혼자서도 할 수 있는 부가세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 어떠셨나요? 충분히 따라서 해볼 만하셨나요?
1편과 2편에 나눠 알려드린 내용들만 천천히 읽어보며 흐름만 이해하셔도 초보 사장님들도 무리 없이 혼자서 부가세를 신고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.
이번 글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부가세 신고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댓글